본문 바로가기

건축/일하면서 얻는 정보

건축학과) 건축 설계 다이어그램 참고 사이트 / architecture diagram

건축에서 다이어그램(diagram)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방식이다. 

그렇게 때문에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.

 

과정을 풀어내거나, 픽토그램을 이용하거나, 색을 이용하여 강조할 수 있다. 

하나의 다이어그램에서 본인이 표현하고자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자.

 

 

다이어그램을 구상할 때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몇가지를 공유한다.

 

1. BIG

 

https://big.dk/

 

BIG | Bjarke Ingels Group

BIG has grown organically over the last two decades from a founder, to a family, to a force of 700. Our latest transformation is the BIG LEAP: Bjarke Ingels Group of Landscape, Engineering, Architecture, Planning and Products. A plethora of in-house perspe

big.dk

 

컨셉, 매스 프로세스를 깔끔하게 잘 표현하기에 많이 참고하는 사이트다. 

Wilson Secondary School -BIG

 

아래와 같은 BIG 스타일의 매스프로세스을 만들고싶다면,

라이노의 북극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내보내기하고, 일러스트 혹은 포토샵으로 리터칭하면 손쉽게 만들 수 있다. 

https://docs.mcneel.com/

엔스케이프의 VISUAL SETTING - WHITE 모드도 느낌이 비슷하다. 

사례 : https://www.arch-vizz.com/howto/diagrambase

 

이 때, Isometric view로 잡는 것을 잊지말자!

Isometric view : x, y, z 세 좌표축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모두 같거나 120도를 이루는 특성을 가진다.

 

 

Wilson Secondary School -BIG

2. OMA

 

https://www.oma.com/projects

 

OMA Projects

OMA is a leading international partnership practicing architecture, urbanism, and cultural analysis

www.oma.com

프로그램에 대한 다이어그램의 표현 방식이 좋아 참고하는 편이다. 

Pershing Square Renew . Los Angeles Concept diagram

 

사람들의 행위에 따라 분류되는 프로그램들과 

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/ OMA

목적에 따라 배치된 프로그램

 

 

CCTV Headquarters / OMA

층별, mass 형태에 따라 배치되는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류체계로 설계를 표현할 수 있다. 

 

 

아래 시애틀 도서관 사례의 경우

프로그램을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여러 느낌으로 볼 수 있었는데 

모두 oma에서 제작된건지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아래에 사진출처를 밝히며 첨부한다.

Seattle’s Public Library
https://www.coroflot.com/megantoma/fall-2008-library-of-the-21st-century
https://www.archdaily.com/11651/seattle-central-library-oma-lmn/5721908fe58ece9e17000001-seattle-central-library-oma-lmn-legibility-section?next_project=no

 

같은 내용이라도 형태, 색감, 텍스트 등에 따라 다른 부가적인 내용을 담을 수 있다.

 

3. JYA-RCHITECTS

 

http://www.jyarchitects.com/ 

 

JYA-RCHITECTS

JYA-RCHITECTS 는 2012년부터 원유민, 조장희 두 명의 파트너가 이끌고 있는 젊은 건축사무소

www.jyarchitects.com

설계에서 중요한 건 스토리텔링이다.

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국내 설계사무소로 프로젝트별로 프로젝트의 컨셉 , 과정, 설계를 명료하게 담아냈다.

 

http://www.jyarchitects.com/project/project_program.php?ptype=view&prdcode=2304100003&page=2&

Low Cost House 1_벌교 프로젝트

문제 : 단열이 되지않는 집, 빛이 들어오지 않음. 저렴한 공사비

제안 : 재료에 대한 제안 - aircap

해결 : 3개의 공기층을 갖고 있는 특성을 이용한 단열효과, 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빛을 투과함

 

 

패널에 넣는 다이어그램도 이런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었다.

납득할 수 있는 근거가 있는 이야기말이다.

패널에 들어간 모든 다이어그램이 연속적으로 읽힐 수 있도록, 패널에 배치되는 순서도 중요하니 고려해보시길 바란다.

 

 

 

+ Pinterest

https://www.pinterest.co.kr/

 

Pinterest

요리법, 집 꾸미기 아이디어, 영감을 주는 스타일 등 시도해 볼 만한 아이디어를 찾아서 저장하세요.

www.pinterest.co.kr

사실 사례를 통해 다이어그램을 미리 많이 봐두는게 베스트다.

마음에 드는 사례를 선정했다면 핀터레스트를 통해 유사한 이미지를 더 검색해보자.

 

모든 패널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대지분석의 경우 예를 들자면 

우선 내 설계를 사람들이 이해하기에 도움이 되는 배경이 어떤 것들이 있을지 생각한다. 

 

ex)

지도 한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 : 인접한 바다를 강조, site 강조, 주변건물 표현

주변 맥락이 중요한 경우 : 도로, site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설을 강조, 주변 환경, 축 , 건물의 높낮이 등을 표현

 

사례를 참고하면서 내가 표현할 방식을 찾고, 이미지 크기와 색감, 등을 결정하는 편이다. 

같은 내용을 담더라도 표현 방식에 따라 느낌이 달라진다. 

 

필자의 pinterest pin

 

https://www.archdaily.com/951482/benoy-wins-competition-to-design-alibabas-central-china-headquarters-in-wuhan

 

오늘은 다이어그램 제작시 참고할 설계사무소와 사례위주로 소개해드렸다.

 

다음글은 소스 편으로 사람, 나무 등 png와 ai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site와 가구 모델링을 받을 수 있는 site를 소개해드리겠다.